데이터베이스의 기본 기능
1. 데이터의 검색 / 갱신
검색을 수행할 수단이 있으며 데이터를 갱신(등록, 수정, 제거)할 수 있다.
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할 때 데이터 포맷 (6장에서 자세히) 과 처리 성능에 유의한다.
2. 동시성 제어
데이터베이스에는 불특정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접근하는 것이 일반적. 이 때 문제가 되는것이 갱신된 데이터의 무결성
트레이드오프 관계 : 어느 사용자에게는 편안한 갱신 제어가 다른 사용자에게는 불편한 상황을 주는 관계
ex) 최초로 파일을 연 사람이 파일을 열고 있을 때 그다음으로 파일을 열려고 시도한 사람은 파일을 열 수 없거나
읽기 전용으로만 열 수 있다 / '서비스 레벨' 과 '비용'의 관계
3. 장애대응
데이터 소실 문제의 대책 ①데이터 다중화 ②백업
4. 보안
데이터베이스 비가시성 이유
① 사용자는 서버 기술을 의식할 필요가 없다.
② DB는 기밀성이 높다
데이터베이스의 종류
계층형 데이터베이스 : 계층구조로 관리. 데이터베이스 역사상 최초로 등록
ex) 조직도, 전체 구조도
관계형 데이터베이스 : 2차원 표 형식으로 데이터 관리, 현재 가장 주류
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와 XML데이터베이스 : '객체'와 'XML' 형식으로 관리
NoSQL 데이터베이스 :
(Not only SQL)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기능을 일부 버려서 성능 개선,
대량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처리해야하는 웹 서비스와 잘 맞아서 최근에 자주 이용됨
*SQL :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기 위한 언어
'D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트랜잭션과 동시성 제어 (0) | 2019.05.09 |
---|---|
sql 기초 (0) | 2019.05.01 |
데이터베이스와 아키텍쳐 구성 (0) | 2019.04.30 |
데이터베이스 초기비용와 운영비용 (0) | 2019.04.30 |
관계형 데이터베이스 (0) | 2019.04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