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타30 정보처리 필기_전자계산기 구조_04강_자료의 외부적 표현 문제 정보 / 이미지 출처 (무료인강) : https://www.youtube.com/playlist?list=PLimVTOIIZt2aR9jib0ws7hoDVZXdtiWsK 1. 문자표현 코드2. 3초과 코드3. 그레이 코드4. 에러 검출 코드 1. 문자표현 코드 1) BCD(Binary Coded Decimal) 코드 : 6bit = 64개 문자 표현 / zone bit 2bit, Digit bit 4bit / 2진화 10진 코드 / 8421코드 / 4bit로 숫자 표현 ex) 9 5 6 각각을 4bit로 표현하여 나열 2) ASCII 코드 (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) : 7bit = 128개 / zone 3bit, digit bit.. 2019. 7. 24. 정보처리 필기_전자계산기 구조_03강_진법과 보수 ( 인강 메모 ) 1. 자료 구성 단위2. 진법3. 각종 진법 변환 (안중요)4. 보수 개념 이해 bit : 정보표현 최소 단위 2^10 bit = 1K 2^16 =65,536 ★ 기억해두기 1. 자료 구성 단위 4bit = 1 nibble 8bit = Byte (이래서 일반적으로 한글자 표현에 1bite 사용. 한글은 2bite = 16bit ) Word = CPU가 한번에 처리하는 단위 (버스 개수와 같음) RAM의 하나의 기억공간 크기가 word로 결정됨 Half Word = 2 BiteFull Word = 4 Bite ( 32bit )Double Word = 8 Byte ( 64bit ) 릴레이션에서의 레코드, 이 레코드의 묶음 (물리적 단위) = 블록 File : 보조기억장치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물리적 단위 F.. 2019. 7. 23. 정보처리 필기_전자계산기 구조_02 보조기억장치 메모 보조기억장치 (Auxiliary ) -자기테이프 -자기디스크 보조기억장치 (Auxiliary ) 데이터를 읽어들일 때 어떻게 접근하는지로 분류 DASD( Direct 직접접근 ) SASD( sequencial access storagy Device 순차접근 ) - 자기테이프 레지스터 (CPU 기억장치 ) 연관 기억 장치 (associated memory) 캐시기억장치 ( SRAM ) 주기억장치 ( DRAM ) 보조기억장치 아래로 내려올수록 [ 대용량 / 저속 / 저가 ] RAM ROM 제외하고는 모두 보조기억장치 N(1)과 S(0) 로 저장 RAM (HDD 읽어옴) ========= HDD (저장만) ← Load → Store (save) CPU(RAM에서 읽어옴) =====[ Cache memory (.. 2019. 7. 23. 캐시[Cache]란? 캐시[Cache]란? mapping : 가상주소와 물리주소의 대응 관계 또는 가상 주소로부터 물리 주소를 찾아내는 일을 말한다. 캐시[Cache]란?프로그램이 수행될 때 나타나는 지역성을 이용하여 메모리나 디스크에서 사용되었던 내용을 특별히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곳에보관하고 관리함으로써 이 내용을 다시 필요로할 때 보다 빠르게 참조하도록 하는 것이다. [참고2]쉽게 풀어서 설명하면 사용되었던 데이터는 다시 사용되어 질 가능성이 높다는 개념을 이용한 것이다. 이를 통해서다시 사용될 확률이 높은 아이들을 좀 더 빠르게 접근 가능한 저장소를 사용한다는 개념이다. 캐시 히트[Cache Hit]란?CPU가 참조하고자 하는 메모리가 캐시에 존재하고 있을 경우 Cache Hit라고 한다. 캐시 미스[Cache Mi.. 2019. 7. 10. 이전 1 ··· 4 5 6 7 8 다음